분류 전체보기 검색 결과
자격증의 목표를 어디까지 두고 있느냐에 따라 생각해야 할게 많아집니다. 요즘 다른 유형도 있는 것 같지만 제가 고등학교를 졸업할 시에는 기능사 합격 후 실무 경력 1년을 쌓아서 산업기사시험 응시 후 합격 산업기사 합격 후 다시 실무 경력 1년을 쌓아서 기사시험 응시 후 합격 아니면 대학교 졸업 후 기사 합격 (요즘보면 4학년에 많이 합격하는 듯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고등학교 졸업이라 기능사에서부터 시작해야 했는데요 기사 합격하고 자격증 신청 후 산업인력공단가서 자격증 받을 때 정말 좋았습니다. (이제 기술사만 남았다!) 정보처리기능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처리기사
IT관련 직업을 가지려고 직업전문학교에서 ICT과정을 다니는 중에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에 대하여 알게되었습니다. 직업전문학교를 다니면서 자격증을 취득하고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내용을 확인하고 회사를 다니면서 자격사항이 되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을 신청하려고 계획도 하고 회사도 다니게 되었습니다. 당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 신청은 산업기사 취득 후 2년의 경력이나 기사 취득 후 1년의 경력이 있어야 가능한 줄 알았는데 (당연히 제가 잘못봤을겁니다) 이번에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 내용을 확인하다가 기능사 합격 후 2년의 경력이면 신청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바로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빨리 알았으면 더 빨리 신청하고 자격을 얻을 수 있었을텐데) 신청하는게 과정이 어렵다고 생각해서 파일을 첨부하여 ..
IT라고 하면 굉장히 광범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IT에 관한 직업을 갖고 있다고 하면 IT와 관련된 건 무엇이든 다 잘한다고 사람들은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처음에 IT와 관련된 직업으로 PC유지보수 업무를 하였는데, 사용자가 PC유지보수를 하는 사람에게 갖는 생각 그리고 다른 사람도 컴퓨터를 고친다고 자기소개를 하면 IT와 관련된 건 다 잘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더라구요 왜 나한테 핸드폰이 잘 안된다고 물어보는지... 난 컴퓨터만 고칠 수 있는데;;;) 이 블로그는 제가 IT업무 및 공부를 하며 관련 내용을 적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