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산관리자의 업무는 회사마다 달라 구인사이트에서 검색하니

사내전산망 관리, 유지보수, PC관리, 서버관리 등의 업무를 하는 걸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만약, 직업으로 전산관리자를 하려고 한다면

신입일 때 구직시 PC유지보수 업무(6개월 ~ 1년 사이)를 하는 걸 생각해 볼 것을 조심스럽게 써봅니다

물론, PC유지보수에서 어떤 업무를 하느냐에 따라 전산관리자가 되었을 때

업무에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업무에 도움이 안 될 수도 있는데요

(저는 업무를 하는 사람이 PC에 관심이 있다면 도움이 되고,

관심도 없고 흔한 말로 시간만 때우고 가면 되지 라고 온 사람의 경우는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번에 자산현황 파악 및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 파일 설치 업무를 하는데

그 전에 있던 사람이 PC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경력이 10년이 넘고 PC영업이랑 네트워크 유지보수를 했다고 한 사람입니다)

 

많은게 안되어 있고, 본인이 사용자에게 발생한 장애를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던 겁니다

(실제로 해결 못한 상황이 1 ~ 2년이 되었던겁니다)

 

저는 장애를 해결했지만

 

만약 다른 사람이 업무를 인계받고 업무를 처리해야하는데

이런 지식과 기술이 없어서 처리하지 못한다면 그 사람에게 큰일났을거라 생각하니

식은땀이 났습니다

 

이 이야기만 있는게 아니고

제가 전산관리자 면접을 2개 회사와 보고 지금 회사에 입사했는데요

첫번째 회사는 제가 소프트웨어 중급기술자가 아니라서 불합격하고

두번째 회사에서는 면접본 날에 바로 합격해서 다음날부터 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그런데

두 회사의 기존 전산관리자는 PC유지보수를 못해서

사람이 교체되는 상황이었던 겁니다(다른말로 짤린다고 하죠)

 

그래서 전산관리자가 되려고 하는 신입분에게

신입일 때 PC유지보수 업무를 하는 것을 조심스럽게 적어보는 겁니다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shared트위터 공유하기
  • shared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